만약 당신이 더 날씬하면서 건강한 삶을 위해 채식을 선택했다면
당신이 지금이라도 알아 둔다면 도움이 될 수 있는 채식 식단의 장점과 숨은 부작용
건강을 위해 시작하는 채식 식단
당신은 왜 채식을 선택했는가? 나의 경우는 비건이 아닌데 독립하여 지내게 된 자취방에 환기가 안된다는 이유로 요리를 안 하다 보니 채식을 하게 됐다. 채식을 하는 이유는 여러 가지인데. 환경을 위해서. 지구를 위해서. 날씬해지고자. 건강한 정신과 마음을 위해서. 몸이 가볍고 싶어서. 대부분 건강을 위해서 채식을 시작한다. 그리고 이유가 건강을 위해서 시작했든 아니든 간에, 우리는 무의식적으로 여긴다. 채식이 건강에 이롭다고 말이다.
건강해지려다 오히려 나락으로 떨어진 이유
만약 당신이 채식을 고려 중이거나 시작했다면 앞으로 당신이 만나게 될 나의 채식 후기를 주의 깊게 살펴보길 바란다. 누구나 채식이 몸에 좋은 식단이라 알지만, 모두가 알지 못하는 이면에 대해 살펴본다. 인터넷에 검색하면 알게 되는 수많은 건강상 이점 아래에는 우리가 생각하지 못한 숨은 부작용 또한 존재한다.
물론 개인마다 차이가 있을 수 있다. 그러나 건강을 위해 채식을 시작할 때 간과할 수 없는 부작용 또한 존재함을 알지 못한다면 건강이 나빠졌을 때 원인을 짐작하기 쉽지 않다. 그렇게 될 땐 많은 시행착오를 스스로 시도해야 한다. 원인을 알게 되기까지 얼마나 많은 시간이 들지 모른다.
건강의 대명사인 채식. 그 수많은 장점 너머에 나또한 알지 못해 고생했던 나의 채식의 숨겨진 이면을 나누려 한다. 나의 겪은 부작용과 그에 따른 시행착오가 당신의 시행착오를 줄여줄 수 있길 바란다.
< 채식 1년 6개월 하면서 건강적으로 얻은 것 >
- 매끈해진 발 뒤꿈치 (지진이었던 땅이 매끄러워졌다)
- 깨끗해진 얼굴 피부
- 산뜻한 식사 메뉴(기름지고 무겁지 않음)
- 식후 소화가 빨리됨
- 체중감소
얼굴 피부에 트러블이 한 개도 올라오지 않았다. 채식의 영향도 있겠지만, 개인적으로 유제품을 끊은 효과가 9할이라 생각한다.
< 채식 약 2년하면서 건강적으로 잃은 것 >
- 무월경 시작
- 만성 변비
- 복부 팽만
- 아침에 차있는 가스
- 에너지의 소진이 빠름. 기력 딸림
- 배불리 식사 후에 간식 생각
- 식사 1~2시간 후 금방 꺼지는 배
- 채식하는 동안 우울증 발생 및 장기화
다음은 채식 시작 후, 예상하지 못한 부작용 가운데 정신적, 신체적으로 내 삶에 가장 크게 영향을 미친 2가지다.
- 채식 시작 1월 만에 무월경 시작(총 1년 6개월 동안)
- 섬유질과 야채를 많이 먹는데도 언제나 변비 그리고 복부팽만.
어떤 이유로 채식을 하게 됐든 야채는 몸에 좋은 것이라 생각하는 나와 당신. 그러나 몸에 좋다고 생각한 것을 오래 하면 할수록 오히려 몸의 컨디션이 좋아지지 않는다면? '건강해지기' 위해 어쩔 수 없이 따라오는 부작용이라 한다면. 그 식단이 정말로 우리 삶을 지켜주는 '건강한' 식단이라 할 수 있을까?
나는 채식을 하며 체중 감소와 트러블 없는 피부를 얻었지만 무월경, 만성변비, 복부팽만, 우울증 심화, 기립성 저혈압, 기력딸림 등 많은 부분에서 건강이 안 좋아졌다. 채식 2년 이후 지속적인 체중 증가와 나락으로 간 컨디션을 회복하기 위해 나는 내가 먹고 있던 것을 한 개 한 개씩 지워나갔다. 그 결과, 채식 1년 6개월 동안 없던 무월경이 식단 변화 1달도 채 되지 않아 다시 시작하게 된다.
2년 동안의 무월경이 1개월 만에 다시 시작된 이유는?
당신이 이미 눈치를 챘을지도. 그렇다. 결론부터 바로 말하자면 무월경의 마침표를 찍게 해 준 것은 바로 동물성 식품이다. 즉 고기를 다시 먹기 시작하면서 3주 만에 월경이 시작됐다.
그렇다.
우리 몸과 뇌가 진짜로 좋아하고 필요로 하는 식품은 바로 동물성 식품이다.
'건강하기 > 내 몸 이해하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저탄고지 카니보어하며 이상한 변비가 생기다? (0) | 2025.07.06 |
---|---|
채식과 저탄고지. 같은 몸무게일 때 몸에 차이가 있을까? (1) | 2025.07.02 |
고지방 식단과 저지방 식단 비교 후기 (1) | 2025.06.01 |
지방을 태우기 위해 먹어야 하는 가장 중요한 한 가지 (1) | 2025.05.23 |